서울대 보라매병원 천종호 교수
금번 SABCS를 다녀온 후, 제가 흥미롭게 들었던 내용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Surgery>
(GS02-02) Are nodal ITCs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an indication for axillary dissection? The OPBC05/EUBREAST-14R/ICARO study
수술 전 항암치료 이후 positive SLN 인 경우 ALND 가 권고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residual isolated tumor cell (ITCs) 인 경우 ALND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cT1-4, N0-3 환자들을 대상으로, SLNB 혹은 TAD 시행 후 ITCs 가 확인된 환자들 41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되었습니다. 146명 (3.5%) 가 ALND 를 시행하였고, 남은 266 (64.6%)는 추가적으로 시행하지 않았습니다. 전체 환자들의 median age는 48세였고, 57%가 T2 환자들이 57%로 가장 많았습니다. ALND 군에서 유의하게 clinical N stage 가 no ALND 군보다 높았으며, frozen section에서 ITCs가 발견된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습니다. ALND 군에서 보았을 때, 추가적 림프절 양성이 29.5%에서 발견되었습니다 (macro-metastasis: 7.5%). 3.2년의 median follow-up 결과, 두 군 간에 axillary recurrence (4.6% vs. 4.1%, p=0.8), invasive recurrence (19% vs. 16%, p=0.13)에서 차이가 없었습니다. 본 연구는 residual ITC에서 ALND 시행 여부를 분석한 첫 연구이지만, 후향적 연구인 점과 추적관찰 기간이 짧다는 점이 limitation으로 들 수 있겠습니다.
(GS02-06) Recurrence-free survival following sentinel node-positive breast cancer without completion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 first results from the international randomized SENOMAC trial.
SENOMAC trial은 SLNB에서 node metastasis가 확인되었을 때, ALND 생략에 대한 연구입니다. ACOSOG Z011 trial이나 AMAROS trial에서 이미 결과를 보여주었지만, 해당 연구들은 적은 수로 인해 statistical power가 낮고, RT regimen에 대한 정보가 명확하지 않으며, 고령/전절제를 받은 환자/T3 환자들의 수가 적어서 해당 그룹에 대한 subgroup analysis 결과가 충분치 않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cT1-3, 1-2 SLN macro-metastasis 환자들을 1:1 무작위 배정을 하였습니다. T3 환자들과 mastectomy 환자들도 포함되었으며 cN+는 제외되었으며, 목표 환자 등록 수는 3000명이었습니다 (non-inferiority margin 2.5%). 환자 등록 완료 후 PP 분석에 포함된 환자는 2540명이었고 (ALND 1205, no ALND 1335명) median f/u 기간은 4.7개월입니다. T3 환자들은 147명 (5.8%)였고, hormone 양성이 86.6% 이었으며, 920명(36.2%)이 전절제를 시행하였습니다. 또한 SLN에서 1개의 node positive 가 확인된 환자는 2151명 (84.7%) 이었고, ALND를 시행한 환자들 중 34.1%에서 추가 node metastasis가 확인되었습니다. 생존분석 결과, 두 군에서 RFS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없었습니다 (88.7% vs 89.7%, HR 0.89 [CI 0.66-1.19), test of non-inferiority p<0.001). Subgroup analysis 결과에서는 T3 group, mastectomy group 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ER+/HER2+ subgroup에서는 ALND 생략이 유의하게 더 RFS가 좋은 것으로 나왔습니다 (적은 수의 환자들로 인한 것). 본 연구의 강점은 전절제 환자들, 65세 이상의 고령, T3 환자들이 포함되었다는 점입니다.
(GS02-04) Surgical Treatment of Women with Breast Cancer and a BRCA1 Mutation: An International Analysis of the Impact of Bilateral Mastectomy on Survival
BRCA1 변이가 있는 경우, 반대측 유방 재발로 인한 걱정으로 prophylactic mastectomy를 종종 권하지만 이러한 수술이 mortality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다기관에서 stage 1-III, BRCA1 mt.인 2482명의 환자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습니다 (Mean age, 43.1yrs). 총 추적관찰기간동안, unilateral breast surgery를 시행한 환자들 중 11.5%에서 CBTR이 발생하였습니다. “CBTR이 발생한 경우”에는 양측 유방을 절제하지 않은 환자들의 사망 위험도는 bilateral mastectomy를 시행한 환자들과 비교하여 2.22 (95%CI, 1.49-3.32; p<0.0001) 였습니다. 하지만 전체 환자들을 분석하였을 때, 수술법에 따른 (BCS vs. unilateral TM vs bilateral TM) 생존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알고 환자와 잘 상의하여 수술법을 결정 해이겠습니다.
<Radiation treatment>
(GS02-07) Loco-Regional Irradiation in Patients with Biopsy-proven Axillary Node Involvement at Presentation Who Become Pathologically Node-negative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Primary Outcomes of NRG Oncology/NSABP B-51/RTOG 1304
본 연구는 cN+ 환자들이 선행항암치료 이후 ypN0 로 확인되었을 때, regional nodal irradiation 시행에 관한 연구입니다. cT1-3, N1 (biopsy proven), 환자들이 포함되었으며, No RNI 그룹과, RNI 그룹 (mastectomy: chest wall RT + RNI / BCS: WBI + RNI) 을 비교하였습니다. 총 1641명이 등록되었고, 그 중 1556명 (RNI 784명 vs no RNI 772명)이 분석되었습니다. 두 군 간에 임상병리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습니다. Median f/u 59.5 months의 결과, invasive breast cancer recurrence-free interval 은 91.8% (no RNI) vs. 92.7% (RNI), p=0.51로 차이가 없었으며, isolated LRR-free interval (p=0.088), distant recurrence-free interval (p=0.99), DFS (p=0.69), OS (p=0.59) 또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No RNI 그룹에서는 2명의 local, 8명의 regional, 1명의 locoregional event가 확인되었고, RNI 그룹에서는 4명의 local event 만 있었습니다. Grade 4의 toxicity 는 0.1% (no RNI) vs. 0.5% (RNI) 였고, grade 3의 toxicity 는 6.5% vs 10.0%가 관찰되었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N+이더라도 항암 후 ypN0 가 되었을 때 RNI를 추가로 하는 것이 생존율을 올리지 않음을 보고하였습니다.
(GS02-08) Five-year outcomes of the IDEA trial of endocrine therapy without radiotherapy after breast-conserving surgery for postmenopausal patients age 50-69 with genomically-selected favorable Stage I breast cancer
이전의 연구들(CALGB 9343, Canadian Trial)에서는 65세 이상의 Stage I HR+ 유방암에서 endocrine Tx 를 시행할 때, RTx가 locoregional recurrence를 비록 유의하게 감소시키지만 RTx를 생략하더라도 LRR event가 매우 적음을 보고하였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50-69세” 환자들 중 “Oncotype-DX RS가 18점 이하”인 BCS를 시행한 pT1, ER+ 환자들을 대상으로 방사선치료를 생략하였습니다 (single-arm study). 13개 기관에서 200명의 환자들이 등록되었으며 (186명 분석), mean tumor size는 1.0cm입니다. Median f/u 5.2년 관찰 결과, 5년 이내에는 2명의 환자들이, 그리고 5년 이후에는 6명의 환자에서 locoregional recurrence가 발생하였고, distant metastasis는 없었습니다. Crude rates of IBTR은 50-59세 및 60-69세에서 각각 3.3%, 3.6% 였으며, crude rates of overall relapse는 5.0% 및 3.6% 였습니다. 결과적으로 해당 연구에서는 좀 더 젊은 층의 폐경 후 여성들에게도 RTx 생략 후 recurrence event가 매우 낮음을 보고하였지만, 아주 잘 selection된 환자들에게 적용이 가능하겠으며, long-term f/u 결과가 필요하겠습니다. 이와 비슷한 연구지만 RCT연구인 NRB BR007 (DeBRa)의 결과가 중요하겠습니다.
<HR+/HER2- breast cancer>
(GS01-02) Phase 3 study of neoadjuvant pembrolizumab or placebo plus chemotherapy, followed by adjuvant pembrolizumab or placebo plus endocrine therapy for early-stage high-risk ER+/HER2− breast cancer: KEYNOTE-756
해당 발표는 KEYNOTE trial의 ER+ 유방암에서 neoadjuvant + adjuvant pembrolizumab (키트루다)의 pCR 및 RCB 결과를 보고하였습니다. T1c-T2 cN1-2 혹은 cT3 이상인 1278명의 환자들을 1:1 무작위 배정하였으며, median f/u 33.2개월의 결과입니다. 중간 분석 결과, pCR rate는 pembrolizumab 처방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24.3% vs 15.6%, p=0.00005), pCR 정의에 따른, 그리고 stage에 따른 subgroup analysis 에도 동일한 유의성을 보여주었습니다. 국가별로 분석하였을 때에는 모든 국가에서 pembrolizumab 군의 pCR이 높았으나, 중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PD-L1 발현에 따라서는 모든 CPS 구간에서 pembrolizumab이 pCR rate가 높았으며 PD-L1 발현이 높을수록 큰 차이를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ER<10% 군에서 더 큰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PD-L1 CPS 1% 미만인 경우에는 ER>10%여도 pembrolizumab 군의 pCR rate 가 높았습니다. 마지막으로 RCB 0-1 환자들은 pembrolizumab 군에 더 많았던 반면 RCB-3의 환자는 placebo 군에 더 많이 포함되었습니다. Immune-mediated 부작용은 hypothyroidism 이 가장 많았고, hyperthyroidism이 뒤를 이었습니다.
* 추가로 (GS01-05) KEYLYNK-009 study에서는 inoperable or metastatic TNBC에서 olaparib + pembrolizumab 용법이 pembrolizumab 요법과 비교하여 OS 및 PFS의 이득을 보여주는데에 실패하였습니다.
(GS01-12) MONARCH 3: Final overall survival results of abemaciclib plus a nonsteroidal aromatase inhibitor as first-line therapy for HR+, HER2- advanced breast cancer
MONARCH-3 연구 (총 493명 - abemaciclib 328명, placebo 165명의 2:1 무작위 배정; 상품명 Verzenio)의 지난번 중간 분석 결과, 진행성 유방암에서 abemaciclib은 생략군에 비해 12.6개월의 overall survival 연장을 보여주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습니다 (at median 5.8 year f/u).
금번 발표는 해당 연구의 최종 전체 생존율 분석 결과입니다. 8.1년의 median f/u 추적관찰 결과, 버제니오 군에서는 198명, placebo 군에서는 116명이 사망하여 hazard ratio 0.804를 보여주었으나 여전히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median OS는 각각 66.8months와 53.7months로 13.1개월의 OS 연장을 보여주었습니다. 복막전이가 있는 환자에서도 버제니오 군의 사망 hazard ratio는 0.758로 더 낮은 경향을 보여주었고, 14.9month의 OS 연장이 확인되었습니다 (not significant). Progression free survival 또한 버제니오 군에서 HR 0.535로 낮았으며, six-year PFS는 23.3% vs. 4.3% 였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HR+/HER2- ABC에서 abemaciclib + NSAI 의 OS 및 PFS 연장을 보여주었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음을 보고하였습니다.
(GS03-03) Ribociclib (RIB) + nonsteroidal aromatase inhibitor (NSAI) as adjuvant treatment in patients with HR+/HER2− early breast cancer: final invasive disease–free survival (iDFS) analysis from the NATALEE trial
NATALEE 연구 (총 5010명–ribociclib+NSAI 및 placebo 1:1 무작위 배정; 상품명 Kisqali)는 지난번 ASCO 2023에서 HR+/HER2- 조기유방암 (Stage II, III)에서 OS benefit을 발표하였습니다.
금번 SABCS 발표에서는 최종 iDFS를 보고하였습니다. 6개월 전 발표때보다 키스칼리 3년 투약을 완료한 환자는 42.8%로 20.2%에서 증가하였으며, 약을 조기 중단한 환자 비율은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또한 median f/u 기간은 33.3개월로, 지난번보다 5.6개월 늘었습니다. 분석 결과, ribociclib은 iDFS 를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HR 0.749, p=0.0006; 3-year iDFS 90.7% vs 87.6%), N0, stage II, 그리고 stage III 등 각 subgroup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그 외에 3-year RFS 및 DDFS 도 ribociclib 군에서 유의하게 위험도가 낮았습니다. 부작용으로 인해 약물을 중단 한 환자들의 비율은 지난번 분석 때와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HR-/HER2+ breast cancer>
(GS01-10) HER2CLIMB-02: Randomized, Double-Blind Phase 3 Trial of Tucatinib and Trastuzumab Emtansine for Previously Treated HER2-Positive Metastatic Breast Cancer
HER2CLIMB-02 연구는 locally advanced or metastatic 유방암 환자들에서 tucatinib 과 T-DM1의 병용치료 에 대한 연구입니다 (double-blinded, phase 3 study). 총 463명의 환자들이 등록되었고, 228명은 tucatinib + T-DM1 군에, 235명은 placebo + T-DM1 군에 배정되었습니다. 24.4개월의 median f/u (overall survival) 기간 후, 병용요법은 암의 진행과 사망을 24.1% 낮추었으며 (HR 0.759, p=0.0163), median PFS는 9.5 vs 7.4 months였습니다. 전체 환자 중 44.1%는 brain metastsis가 있었으며, 비슷하게 병용 요법은 암 진행/사망을 36.1% 감소시켰습니다. 가장 많이 관찰되었던 부작용은 nausea, diarrhea, fatigue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부작용으로 인한 약물 중단은 51명 (22.1%) vs. 27명 (11.6%) 였습니다.
(GS03-12) Phase III study of adjuvant ado-trastuzumab emtansine vs trastuzumab for residual invasive HER2-positive early breast cancer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HER2-targeted therapy: KATHERINE final IDFS and updated OS analysis
KATRHERINE 연구는 선행항암치료 및 HER2 표적치료 후 수술을 받고 유방 혹은 겨드랑이 림프절에 residual disease 가 있는 cT1-4, cN0-3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습니다 (Phase III, open-label). 1486명의 환자들을 T-DM1 군 (743명) 과 trastuzumab 군 (743명)으로 1:1 무작위배정을 하였으며, 2018년 처음 발표 이후 금번 SACS에서 median f/u 8.4 year의 결과를 보고하였습니다. 분석결과, T-DM1은 iDFS와 OS를 유의하게 연장하였습니다 (iDFS: HR 0.54, p<0.0001, 7-year rates 80.8% vs. 67.1%, OS: HR 0.66, p=0.0027, 7-year rates 89.1% vs. 84.4%). Grade 3 이상의 부작용은 각각 0.4%에서 있었으며, 심독성과 관련한 부작용은 두 군 모두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본 발표에서는 T-DM1은 수술전 항암 후 residual disease를 가진 HER2+ 조기 유방암에서, 수술 후 생존율을 향상시킨 최초의 약제임을 보고하였습니다.
<HR-/HER2- breast cancer>
(GS01-03) Adding atezolizumab to adjuvant chemotherapy for stage II and III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is unlikely to improve efficacy: interim analysis of the ALEXANDRA/IMpassion030 phase 3 trial.
Impassion030 연구는 삼중음성 조기 유방암에서 atezolizumab 처방에 대한 연구입니다. Stage II-III 환자들을 adjuvant atezolizumab (1yr) + CTx 와 CTx alone 두 그룹으로 1:1 무작위 배정을 하였고, 2199명의 환자들 중 1101명과 1098명이 각각 배정되었습니다. 25.3months의 median f/u 후, atezolizumab과 control 군에서 각각 127명, 112명의 invasive disease event가 확인되었습니다 (HR 1.12; 95% CI 0.87-1.45, p=0.37). PD-L1 (+) subgroup에서도 두 군간에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Overall survival 또한 차이가 없었으며 (HR 1.20, 95%CI, 0.82-1.75), atezolizumab의 부작용으로 인한 약물 중단은 13.2%에서 발생했습니다. 따라서 TNBC에서 atezolizumab은 유의한 효능을 입증하는데 실패하였습니다.
<Others>
(GS03-02) Mammographic surveillance in early breast cancer patients aged 50 years or over: results of the Mammo-50 non-inferiority trial of annual versus less frequent mammography
유방암 수술 후 추적관찰에서 매년 mammogram을 시행하도록 권유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 (Mammo-50)에서는 mammogram interval을 더 길게 하여 추적관찰을 시행하였습니다. 다기관에서 진행되었으며 유방암 수술 이후 3년째부터 매년 mammogram을 시행하는 군과, 2년 (BCS) 혹은 3년(TM)의 interval로 시행하는 군으로 1:1 무작위배정을 하였습니다. 50세 이상의 여성들이 포함되었으며 invasive cancer와 in situ 모두 포함하였습니다. 5325명이 등록되었습니다 (비열등성 시험, 목표수 5000명). Median f/u 5.7년동안 두 군 간에 BCSS (HR 0.92; 95%CI, 0.64-1.32), RFI (HR 1.00; 95% 0.81-1.24), OS (HR 1.08; 95%CI, 0.87-1.33)의 차이는 없었으며 매년 유방촬영술을 시행하는 것에 비해 비열등함을 보여주었습니다. QoL 설문조사 결과 상 두 군 간에 distress 정도는 비슷하였습니다.
총 25건